어업 경영체 등록 필수! 2025 어업인 이동수리소 혜택

어업 경영체 등록 필수! 2025 어업인 이동수리소 혜택

해양수산부의 ‘이동수리소 운영’ 사업은 육상 수리업체와 멀리 떨어진 도서·벽지 어촌지역 어업인들을 위한 것입니다. 어업용 기자재의 정기 점검과 무상 수리를 제공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해난 사고를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어업인들의 안정적인 조업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동수리소는 어떤 서비스인가요?

어업용 이동수리소는 어업 활동에 필수적인 기자재의 고장이나 정기 점검이 필요할 때,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사업은 특히 수리 시설이 부족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도서·벽지(내수면 포함)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핵심 목표는 어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조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비 고장으로 인한 예기치 않은 해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동수리소는 단순히 고장 난 장비를 고치는 것을 넘어, 어업인들의 안전과 생계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서비스는 수산업ㆍ어촌 발전 기본법 제24조에 근거하여 운영되며, 현물 지원 형태로 어업인들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하고 있습니다.


이동수리소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해양수산부의 이동수리소 운영 사업은 어업용 기자재의 정기 점검 및 수리에 어려움을 겪는 어업인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주요 지원 대상은 육상의 수리업체와 거리가 멀리 떨어진 도서·벽지 어촌지역(내수면 포함)에 거주하며 어업에 종사하는 분들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어업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조업 환경을 조성하고 예기치 않은 해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 목표입니다.

어업인 이동수리소 지원 대상

지원 핵심 대상: 어업경영체에 등록된 어업인

특히, 지원의 효율성과 필요성을 고려하여 어업경영체에 등록된 어업인에게 우선적으로 혜택이 제공됩니다. 이는 실제 어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장비 지원이 절실한 어업인들에게 집중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 본 사업은 어업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어업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혹시 여러분의 어촌 지역도 이동수리소의 도움이 필요한 곳인가요? 지원 자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가까운 각 지자체의 수산사무소로 문의하여 정확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동수리소 서비스 신청 방법

이동수리소 서비스는 별도의 신청 기간 없이 수시로 신청할 수 있어 어업인들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어업인께서는 다음 절차에 따라 신청하시면 됩니다.

  1. 수산사무소 방문: 각 지자체의 수산사무소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2. 접수 기관: 신청 접수는 시·군·구청에서 담당합니다.
  3. 지원 형태: 지원은 현물 형태로 제공됩니다.
  4. 지원 한도: 당해 연도 1인당 1회에 한하여 최대 20만원 이내에서 무상 수리 및 점검이 가능합니다.
  5. 초과 비용: 20만원을 초과하는 비용은 신청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이처럼 간편한 신청 절차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신속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서류를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시면 더욱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수리소 운영의 중요성

이동수리소 운영은 지리적 제약 속 어업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며, 어촌 경제 활성화와 안전한 조업 환경 조성에 기여합니다. 이 서비스로 어업인들은 기자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더욱 효율적인 어업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장비 수리를 넘어, 어촌 사회의 활력과 어업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동수리소의 지속적인 운영은 우리 어촌의 미래를 더욱 튼튼하게 만드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어업용 기자재 수리 지원 금액은 얼마인가요?

지원 금액 및 본인 부담 안내

어업용 기자재 이동수리 서비스는 당해 연도 1인당 1회에 한하여 지원됩니다. 지원 금액은 20만원 이내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며, 이는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중요한 지원 정책입니다.

만약 총 수리 비용이 2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되는 금액은 전적으로 신청자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리 요청 전 예상 비용을 확인하고, 지원 한도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지원은 어업 활동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예기치 않은 장비 고장으로 인한 어려움을 덜어드리고자 마련되었습니다.

Q2: 어업용 기자재 수리 서비스 신청 기간은 언제인가요?

어업용 기자재 이동수리 서비스는 어업인 여러분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별도의 신청 기간 제한 없이 수시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업 활동 중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기자재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어업인이 필요한 시기에 언제든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운영하기 위함입니다. 계절이나 특정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 가능한 점이 본 서비스의 큰 장점입니다.

따라서, 기자재 점검이나 수리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각 지역의 수산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신청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Q3: 어떤 종류의 어업용 기자재를 수리해주나요?

본 이동수리소는 어업 활동에 필수적인 다양한 어업용 기자재의 점검 및 수리를 지원합니다. 이는 어업인의 조업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해난사고를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주요 지원 기자재 및 목적

  • 어업용 엔진 및 관련 부품의 정밀 점검 및 수리
  • 어선 내 주요 기계 장치의 진단 및 정비
  • 기타 어업 활동에 사용되는 소형 기자재 수리 및 기능 복원
  • 정기적인 장비 점검을 통한 성능 유지 및 장비 수명 연장

특히, 육상의 수리업체와 멀리 떨어져 있어 정기적인 점검이나 수리가 어려운 도서ㆍ벽지 등 취약 어촌지역 어업인들에게 무상 이동수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Q4: 어업용 기자재 수리 서비스는 어디로 문의해야 하나요?

어업용 기자재 이동수리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각 지역의 수산 관련 기관으로 연락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목록을 참고하시어 해당 지역의 문의처로 연락해 주십시오.

지역별 문의처 안내

  • 부산 수산자원연구소: (051)209-0935
  • 인천 수산기술지원센터: (032)458-7464
  • 울산 해양수산과: (052)229-2984
  • 경기 수산자원연구소: (031)8008-8358
  • 강원 어업진흥과: (033)660-8329
  • 충남 자원연구소: (041)635-7862
  • 전북 기술연구소: (063)290-6960
  • 전남 해양수산과학원: (061)550-0656
  • 경북 어업기술지원과: (054)240-0324
  • 경남 수산안전기술원: (055)254-3543
  • 제주 수산정책과: (064)710-3297

문의하시기 전에 해당 지역의 기관인지 확인하시면 더욱 신속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문 신청은 각 지자체의 수산사무소에서 가능합니다.

댓글 남기기